간호학 자료

고칼륨혈증

노아 리 2011. 2. 5. 23:17

 

 

   1. 정상 혈중 칼륨 농도

       해당 병원의 검사실 기준에 따라정상범위에 약  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보통의 경우
       정상 칼륨 농도 
3.5~5.0mEq/L(mmol/L)로 알려져 있다.

 

 

   2. 증상

        근력 약화, 허약감이 들다가 마비증상과 저호흡, 체내 산 (ph)에 영향을 줄수 있으며,
        가장 심한
부작용으로 심장에 대한 독성이 있다.

        따라서 초기에 응급처치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경우에는 부정맥 특히 심실세동이나 무수축이
        
일어나 사망할수 있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에는 즉각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3. 고칼륨혈증을 잘 유발할 수 있는 질환

      당뇨병, 루푸스 등의 이차성 만성사구체신장염 환자에서 신장의 세뇨관 손상이 동반되었을때

      고칼륨혈증의 발생이 쉽게 나타날수 있다.

      따라서 이차성 만성사구체신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인 당뇨병성 신증의 환자는

      다른 원인에 의한 신장질환에 비하여 같은 정도의 신기능의 저하가 있더라도 훨씬 높은 빈도의

      고칼륨혈증이 발생할수 있으므로 칼륨이 많이 포함된 음식이나 과일 섭취, 그리고 체내 칼륨 대사에

      영향을 줄수 있는  약제(항고혈압제)의 복용시 고칼륨혈증이 나타날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4. 고칼륨을 일으키는 약

         항고혈압제 - 비선택성 베타 차단제

                칼륨보존성 이뇨제

                ACE억제제, 안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

기타 - 다곡신, 헤파린, 비스트로이드소염제, 일부 항생제

    ※ 만성신장질환에서 신장기능 보호와 고혈압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약제들을 속적으로

        복용하기 위해서는 식품선택 및 조리법에 주의를 하고 소금 대용품인

        저염 소금이나 간장등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신기능 정도에 따라 칼륨 배설 효과를 가진 이뇨제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관련 약제의 사용을 중단하거나 이러한 고칼륨혈증을 유발하는 약제를

        신 보호효과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음식등에 포함된 칼륨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경구용 약제를 병용 처방하기도 한다.

        그러나 고칼륨혈증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5. 고칼륨 혈증의 주의식품

    우유군 - 우유, 치즈, 아이스크림, 야쿠르트, 분유, 두유

                       어육류군 - 굴, 꽃게, 각종조개류, 미더덕, 대구, 동태, 병어, 붕어, 붕장어. 아구, 새우, 성게알, 해파리, 전복,물미역

    곡류 - 옥수수, 밤, 팥, 녹두 등 잡곡류

    채소 - 감자, 고구마, 고추잎, 근대, 두릅, 마, 부추, 비름, 산채, 쑥, 쑥갓, 시금치, 연근, 갓,죽순, 냉이, 파슬리, 무말랭이

    과일 - 바나나, 메론, 살구, 말린 과일, 오렌지, 오렌지 주스, 생복숭아,키위

                   기타 - 견과류(땅콩,호두,잣등), 땅콩버터, 코코아, 초콜릿, 커피, 저염소금, 저염간장, 흑설탕, 포테이토칩 등

     

6. 조리법

    칼륨은 염분과 달리 맛을 내지 않고 물에 잘 녹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칼륨이 많이 함유된 음식이나 채소를
먹고 싶으면 잘게 썰어서 물에
    10~20분 이상 담근 후이거나, 데쳐서 음식재료로 사용한다.

    칼륨의 지나친 섭취를 피하기 위해 야채는 1일 200~300g, 과일은 50~100g으로
    1~2회만 섭취하고
주식도 잡곡은 피하고 흰쌀밥이나 보리밥으로 섭취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