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Dopamine | |||||||||||||||||||||
Norepinephrine의 전구물질로서 직접적으로 또는 NE 유리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pre,post-synaptic 수용체에 작용 (1) 약리작용 | |||||||||||||||||||||
1) D(Dopaminergic)1 receptor agonist : 혈관확장 소량의 dopamine 주입시 신장의 혈류량, 사구체 여과율, Na 배설 증가 2) β1-receptor agonist ① 심근수축력 상승으로 수축기 혈압 상승 ② 말초혈관의 수축 미약, 내장 혈류량(mesenteric & renal)증가로 이완기 혈압은 변동이 없으며 맥압 증가 3) α1-receptor agonist : 고용량 사용시 혈관수축으로 epinephrine과 비슷한 효과 * 고용량의 dopamine을 장기간 상용할 경우 대동맥의 저항이 증가되고 심근의 산소소모량 증가 등으로 심근허혈을 증가시킴 * 저용량이나 중증도 용량에서는 미약하지만 관동맥 확장에 의한 관동맥 혈류를 증가시킴 * 저혈압, 저심박출증 환자에서 dobutamine과의 병용은 비교적 저용량으로도 동맥압 및 심박출량 유지를 가능하게 함 * 반드시 Hypovolemia 상태 교정 후 사용 | |||||||||||||||||||||
(2)용량 : 2㎍/kg/min로 시작해서 20㎍/kg/min까지 증량 | |||||||||||||||||||||
2. Dobutamine | |||||||||||||||||||||
(1) 약리작용 | |||||||||||||||||||||
1) β1-receptor agonist : positive inotropic effect( > chronotropic effect) 2) Strong β1 effect(수축력 및 심박수 증가) & mild β2 effect(SVR감소) Minimal α1 effect(Vasoconstriction) β1 effect 중 chronotropic effect는 isoproterenol보다 미약 SA node automaticity 증가보다는 AV node, intraventricular conduction 증가 효과가 있어서 심방세동시 심실 반응을 증가시켜 AF with RVR을 초래할 수 있다. 3) 대동맥의 저항 감소로 심장 효율 증가 : 심근 수축력 증가에 따른 일박출량 상승 4) 심박수의 유의한 증가 없이 심박출량 증가 및 심실용적(LVEDV), 좌심실이완기압(LVEDP)감소 | |||||||||||||||||||||
(2) 적응증 : 수축기 심부전 환자의 심박출량 개선(Marginal CO & mild elevation in SVR) 만성심부전, 심근경색에서 폐울혈이 있을 때 이뇨제와 병용사용 | |||||||||||||||||||||
(3) 용량 : 2.5㎍-5㎍/kg/min로 시작하고 심부전에서 15㎍/kg/min 이상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음 * 심한 저혈압시 저심박출증인 경우 dopamine 같은 vasopressor 사용 후 적절한 동맥압 유지 후 사용되어야 함 | |||||||||||||||||||||
3. Norepinephrine(Levophed) | |||||||||||||||||||||
(1) 약리작용 | |||||||||||||||||||||
1) Strong α-receptor agonist: epinephrine과 유사, 심한 말초혈관 수축으로 조직으로의 혈류량 감소 2) β1-receptor agonist β2-receptor에 대해서는 거의 작용하지 않음 말초혈관저항(SVR) 증가 및 심장 자극 효과(contractility↑)로 인한 수축기/이완기 혈압 상승 심근의 산소 요구량(Oxygen demand) 증가로 허혈성 심질환자에서는 주의 | |||||||||||||||||||||
(2) 용량 : 2㎍/min(0.02㎍/kg/min)로 시작하고 혈압상승의 목표는 관동맥 혈압을 유지할 수 있는 가능한 낮은 혈압 | |||||||||||||||||||||
(3) 부작용 : 심근허혈, 부정맥, 장기간 사용시 조직관류 저하로 인한 손상 : renal, visceral ischemia |
'간호학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PICC (말초 삽입형 중심 정맥간 )관리 (0) | 2011.02.23 |
---|---|
고칼륨혈증 (0) | 2011.02.05 |
Free Air가 뭔가요? (0) | 2010.09.06 |
Sinus bradycardia가 뭔가요? (0) | 2010.09.06 |
full dropping과 loading의 차이 (0) | 201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