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자료

[스크랩] 케모포트관리

노아 리 2011. 2. 23. 01:16

 중심정맥관 -케모포트(ChemoPort)관리

1. 목적

1) 중심정맥압을 측정하기 위함입니다.

2) 수액을 빨리 주기 위함입니다.

3) 정기적인 정맥요법을 위한 통로를 마련하기 위함입니다.

4) TPN theraphy를 하기 위함입니다

2. 중심정맥관의 종류

중심정맥카테터는 삽입하는 술식에 따라 쇄골하정맥(Subclavian Vein)을 통하여 삽입하는 것 과, 팔에 있는 대정맥(척측피정맥; Basilic Vein 혹은 상부정맥;Cephalic Vein)을 통하는 것으로 구분되는데, 전자의 예로는 히크만카테터 (Hickman Catheter), 케모포트(ChemoPort)등이 있고, 후자의 예로는

PICC 등이 있습니다.

 

1) 케모포트(Chemo-port)

케모포트는 portal과 catheter로 이루어져 있으며 portal은 피하에 삽입되고 catheter는 피하를 지나 동.정맥내로 삽입된다.

위치는 우심방위 거의 2cm정도의 상대정맥(SVC) 말단에 포트(port)를 부착시키며 피부 밑 0.5~2cm정도 깊이에 포켓(pocket)을 만들어 포트를 삽입한다. 포트가 너무 깊이 위치하면 촉지가 어렵다. 그리고 포트는 중심선 가까이 위치하는 것이 더 안정감이 있다

케모포트 외관구조

 

 

① 관리 및 유지

A. 간헐적 주입(Bolus/intermittent injection) :

- 준비물품: 베타딘솜, Non-coring Needle, 10cc 주사기,

1:100헤파린 용액

, 생리식염수 2×2 거즈, 반창고, 마스크, 장갑 등

㉠ 손을 씻고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한다.

㉡ 케모포트 주사침세트에 생리식염수로 line을 채운 후 주사기는 그대로 꽂 아 둔다.

왼쪽 인지와 중지를 써서 port septum의 위치를 확인한 후 포비돈 용액 을 사용하여 septum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3인치 정도 둥글게 돌려가 며 3번 닦는다.

㉢ 왼쪽인지와 중지로 케모포트 septum을 잡은 채 오른손으로 Needle을 chamber의 바닥까지 닿도록 수직으로 삽입한다.

㉣ 주사기를 당겨 patency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을 흡인해 본 후 생리식염 수를 flush 한다.

㉤ 주입 할 약물이 든 주사기를 주입 침 세트의 주입구에 끼워 서서히 주입 한다.

생리식염수를 주입한 후 1:100헤파린 희석용액 5cc를 주입한다. 이때 헤 파린 희석액 주입이 끝날 무렵 양압을 걸고 있는 채로 클램프를 잠근 후 왼손으로 포트를 지지하고 오른손으로 후버바늘(huber needle)을 잡아 수 직으로 뽑는다.

㉦ 소독솜으로 바늘 제거부위를 닦고 2×2 거즈나 1회용 반창고를 붙인다.

케모포트 주사법

B. 지속적 주입(Continuous Infusion) :

㉠ 케모포트 주사침 세트을 꽂은 후 처방된 수액에 수액주입 set를 꽂아 세트 내에 공기가 없도록 채운 후 조절기로 잠근다.

㉡ 수액세트와 케모포트 주입침세트의 연결부위는 베타딘 솜으로 닦고 거 즈와 반창고로 고정한다.

㉢ 격막주위의 피부를 포비돈 요오드로 소독한 후 나비모양의 손잡이를 납작하게 누른 후 드레싱한다.

㉣ 수액세트의 교환과 삽입부위의 소독은 24~72시간마다 한다. 장기간 입 원 사용시 케모 포트 바늘의 교환은 14일마다 한다.

㉤ 바늘의 제거는 케모포트 바늘과 수액세트의 연결부위를 분리하고 생리 식염수를 주입한 후 헤파린 희석용액 5cc를 positive pressure를 가하면 서 주입하고 클램프를 잠근 후 격막 부위를 눌러준 상태에서 바 늘을 제거한다.

케모포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케모포트가 막히지 않도록 4주에 한번 씩 헤파린 희석 용액(1:100헤파린) 5cc를 주입한다.

C. 채혈(Blood sampling)

처음 뽑아낸 3cc의 혈액은 버린다. 혈액채취 후 남아있는 혈액이 응고되 어 케모포트가 막히지 않도록 20cc의 생리식염수를 flush 함

헤파린 희석액으로 H-lock 한다. 이때 케모포트 전용 바늘을 사용한다.

** 케모포트 바늘(Non-coring Needle)

일직선 바늘(Non-coring Needle)은 정규적인 헤파린 주입이나 일시적인 약물주입시 에 사용된다.

바늘을 꽂기 전에 무균적 부분 진통제(sterile topical anesthetics)를

미리 도포하기도 한다.

그리고 바늘을 찌르기 전에 소독은 베타딘용액을 사용하며 셉튬의 중심 에서 5cm 정도의 반경을 둥글게 2번이상 닦고 1~2분간 말린다.

끝이 구부러진 형태의 ㄱ자형 Non-coring Needle이나 구부리기 쉬운

포트 카테터는 계속적인 약물 주입시에 사용된다.

non-coring needle은 격막이 찢어지거나 새지 않고 통과할 수 있게 만 들어진 케모 포트 전용 바늘이며 19G는 고농도의 수액주입이나 혈액 채 취시 사용하고, 22G바늘은 점도가 낮은 fluid 주입할 때 사용한다.

** 드레싱 및 케모포트 바늘 교환 :

지속적으로 약물이나 수액을 주입중일 때 바늘의 교환은 2주에 1회이며 환자의 상태나 케모포트 상태에 따라 시기를 더욱 당기기도 한다.

드레싱은 무균술을 지켜야 하며 장갑을 꼭 끼고 실시한다. 드레싱 물질이 거즈 드레싱일 때는 1~2일에 1회 실시하며 필름류 드레싱으로 투명한 드레싱 물질을 사용할 때는 5~7 일에 1회 실시한다.

그러나 바늘주변에 발적이나 삼출물이 있을 때는 주의깊게 관찰하고 곧바로 다시 소독하고 의사와 상의한다.

** 합병증

케모포트 삽입에 따른 상처감염이나 정맥염 혈종 기흉 감염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수액 주입시 적절하지 못한 조작으로 인한 감염이나 공기색전,

혈전형성을 유의해야 한다.

감염 증상으로 발적, 동통, 부종, 분비물, 열, 오한, 빈맥, 빈호흡, 저혈압을 들 수 있으며 daily dressing, 항생제 치료가 있으며 필요시 제거한다.

예방으로 철저한 무균술을 지키며 감기에 걸렸을 경우 마스크를 착용한다.

** 주의사항:

㉠ 카테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옷을 헐렁하게 입고 지나친 신체적 운동을 삼가도록 한다.

㉡ 케모포트에 수액 주입시 잘 들어가지 않거나 혈전이 생긴 경우 정확히 판단하여 지나치게 압력을 가하여 조작하지 않도록 한다.

평소에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헤파린 희석액 주입을 지켜야 하며 사용중에도 헤파린 flushing을 시행해야 한다.

혈전이 생겨 카테터가 막힌 경우는 의사의 지시하에 유로카나제 (urokinase) 5000u/ml를 충분히 push-pull maneuver로 주입하고 30분 간 막아둔다.

30분 후에도 뚫리지 않으면 반복한다. 이후 혈액이 나오면 주입했던 양 만큼 제거한다.

공기 색전이 생길수도 있으며 열려있는 바늘이나 카테터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발생한다. 호흡곤란, 청색증, 흉통, 빈맥, 저혈압, 호흡부전 이 생기며 더 이상 공기가 유입되않도록 즉시 잠근다.

환자를 왼쪽 측와위로 눕히고 머리를 낮추어 주면 산소를 공급한다.

㉣ 드물게는 약물의 혈관외 유출이 되기도 한다. 카테터나 바늘의 위치를

자주 살피며 약 물주입 전에는 반드시 주사기로 당겨 혈액이

역류되는지 확인하고 약물을 주입하도록 한다.

㉤ 주사기의 사용시 10cc 이하는 압력이 커지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포트 의 최대 압력부하가 40psi 이므로 작은주사기 일수록 압력이 커진다.

출처 : 강동성모병원 간호과
글쓴이 : 헬레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