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자료

아드레날린성 수용체(adrenergic receptor) 분류

노아 리 2010. 10. 10. 09:54

아드레날린성 수용체(adrenergic receptor) 분류

수용체 Alpha(α) Beta(β)
α1 α2 β1 β2
존재부위 Postsynaptic effector cell Presysnaptic nerve terminal 심장 및 내부장기 기관지, 혈관등
반응 혈관수축, 자궁수축
위장관: 평활근이완
췌장: 인슐린분비억제
심장수축력 및
자극전도,
심박수 증가
평활근 이완
골격근:당원분해
간장:당원분해,
포도당신생
1. Dopamine
Norepinephrine의 전구물질로서 직접적으로 또는 NE 유리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pre,post-synaptic
수용체에 작용

(1) 약리작용
1) D(Dopaminergic)1 receptor agonist : 혈관확장
   소량의 dopamine 주입시 신장의 혈류량, 사구체 여과율, Na 배설 증가
2) β1-receptor agonist
   ① 심근수축력 상승으로 수축기 혈압 상승
   ② 말초혈관의 수축 미약, 내장 혈류량(mesenteric & renal)증가로 이완기 혈압은 변동이 없으며
맥압 증가
3) α1-receptor agonist : 고용량 사용시 혈관수축으로 epinephrine과 비슷한 효과
   * 고용량의 dopamine을 장기간 상용할 경우 대동맥의 저항이 증가되고 심근의 산소소모량
     증가 등으로 심근허혈을 증가시킴
   * 저용량이나 중증도 용량에서는 미약하지만 관동맥 확장에 의한 관동맥 혈류를 증가시킴
   * 저혈압, 저심박출증 환자에서 dobutamine과의 병용은 비교적 저용량으로도 동맥압 및 심박출량
     유지를 가능하게 함
   * 반드시 Hypovolemia 상태 교정 후 사용
(2)용량 : 2㎍/kg/min로 시작해서 20㎍/kg/min까지 증량
 
2. Dobutamine
(1) 약리작용
1) β1-receptor agonist : positive inotropic effect( > chronotropic effect)
2) Strong β1 effect(수축력 및 심박수 증가) & mild β2 effect(SVR감소)
   Minimal α1 effect(Vasoconstriction)
   β1 effect 중 chronotropic effect는 isoproterenol보다 미약
   SA node automaticity 증가보다는 AV node, intraventricular conduction 증가 효과가 있어서
   심방세동시 심실 반응을 증가시켜 AF with RVR을 초래할 수 있다.
3) 대동맥의 저항 감소로 심장 효율 증가 : 심근 수축력 증가에 따른 일박출량 상승
4) 심박수의 유의한 증가 없이 심박출량 증가 및 심실용적(LVEDV), 좌심실이완기압(LVEDP)감소
(2) 적응증 : 수축기 심부전 환자의 심박출량 개선(Marginal CO & mild elevation in SVR)
             만성심부전, 심근경색에서 폐울혈이 있을 때 이뇨제와 병용사용
(3) 용량 : 2.5㎍-5㎍/kg/min로 시작하고 심부전에서 15㎍/kg/min 이상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음 * 심한 저혈압시 저심박출증인 경우 dopamine 같은 vasopressor 사용 후 적절한 동맥압
유지 후 사용되어야 함
 
3. Norepinephrine(Levophed)
(1) 약리작용
1) Strong α-receptor agonist: epinephrine과 유사, 심한 말초혈관 수축으로 조직으로의 혈류량 감소
2) β1-receptor agonist
β2-receptor에 대해서는 거의 작용하지 않음 말초혈관저항(SVR) 증가 및 심장 자극 효과(contractility↑)로 인한 수축기/이완기 혈압 상승
심근의 산소 요구량(Oxygen demand) 증가로 허혈성 심질환자에서는 주의
(2) 용량 : 2㎍/min(0.02㎍/kg/min)로 시작하고 혈압상승의 목표는 관동맥 혈압을 유지할 수 있는
가능한 낮은 혈압
(3) 부작용 : 심근허혈, 부정맥, 장기간 사용시 조직관류 저하로 인한 손상 : renal, visceral ischemia

'간호학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PICC (말초 삽입형 중심 정맥간 )관리  (0) 2011.02.23
고칼륨혈증  (0) 2011.02.05
Free Air가 뭔가요?  (0) 2010.09.06
Sinus bradycardia가 뭔가요?  (0) 2010.09.06
full dropping과 loading의 차이  (0) 2010.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