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조리 [不條理]
이방인은 현대사회의 메카니즘 속에 처져있는 모순과 현대인의 생활감정 가운데에 잠긴 부조리의 의식을 명확하게 표현한 작품이며, 고독감과 인생의 모순을 고백적 감상형식으로 해설한 시지프스의 신화와 함께 큰 감동을 불러일으켜 광범위한 독자를 획득, 일약 카뮈를 국제적인 작가로 만들었다. 카뮈는 빈곤과 병고를 체험한 소년 시절부터 끊임없이 죽음의 관념에 위협당하면서 생과 사, 자신과 세계와의 모순, 대립에 괴로워했다. 자연 속에 묻혀 있을 때에도 도취와 불안을 깨닫고 사회에 있어서는 절망을 느끼면서도, 종교에 의지하지 않고 이 세상에서의 행복을 추구하는 숙명적인 부조리의 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자기의 사색과정으로 부터 인간은 생과 사의 모순 사이에서 살도록 운명지어졌다고 생각하여 죽음이 있음으로써 삶에 가치가 있고 삶은 사랑스러운 것이 된다고 논했다. 삶에의 절망이 없이는 삶에의 희망도 없다는 것이 그의 논리이다. 부조리의 철학은 이러한 인식에 바탕하여, 인간은 싸우고 반항하면서 살아야함을 가르치는 사상이다. 커다란 바위를 위를 향해 끝없이 밀어올리는 ?시지프스?,모든 것을 거부하고 사형대에 오르는 ?뫼르쏘?는 카뮈가 창조한 이 부조리의 인간의 전형이다. 그 후 카뮈의 부조리에의 사색은 전쟁, 점령, 수용소, 저항운동 등 극한 상황 속에서의 견문과 체험에 의해 더욱 다듬어진다. 그 이후 그는 폭력과 부정을 배제하고 인간을 비참한 경지에 빠뜨리며, 인간성을 빼앗고, 인간의 존엄성을 더럽히는 등의 사태에 맞서게 되었다. 이 사실은 나찌즘의 비인간성을 공격하는 독일 親友에의 편지에 나타나고, 숙명에 반항하여 사회의 관례와 도덕에 역행하여 절대적인 자유를 추구하다 자멸하는 폭군의 비극을 다룬 희극칼리귈라, 고향의 암담한 잿빛 생활을 피하여 남쪽의 맑은 빛을 미치도록 동경하는 女人 마르타의 범죄를 그린 戱曲 誤解를 거쳐, 장편 페스트에 이르러서는 그의 社會惡에 도전하는 적극적인 태도가 강하게 표출되어 나타난다. 페스트는 카뮈의 명성을 가장 높인 작품이지만 그것은 부조리의 체험과 인식의 차원이 아니라 인간을 절멸시키는 악과의 투쟁을 우의적으로 다룬 작품이다.
카뮈는 전쟁 반대, 사형 반대의 입장에 섰으며, 특히 전쟁에 의한 인간의 대량학살이나 사상범의 극형에 반대하고 있다. 이 소설에서는 이제까지와 같은 인간의 부조리에 대한 개인적인 저항이 아니라 집단적인 반항이 그려져 있다. 페스트균에 의해한 도시가 봉쇄되어 유언비어가 나돌고 闇市場이 번창하는 상태는 바로 전시의 파리이고 선의의 사람들이 괴질과 싸우다 쓰러져가는 정경은 전시의 저항운동이나 혁명기의 내란을 연상시킨다. 따라서 이 소설의 우의는 장소나 시간을 초월하여 각국의 유사한 사건에 적용되고, 여기에 그려진 동지적 연대감과 희생적 정신에 의한 행동은 숱한 독자의 공감을 불러 일으켰다. 카뮈는 이 작품의 성공으로 전후세대의 정신적 지주로서 부각되게 되었다. 작품계엄령은 같은 테마를 극화한 희곡이다. 평론반항적 인간은 근대의 니힐리즘 비판이며 그것에 대한 반항을 논한 것이다.그가 주장하는 반항은 결코 혁명적인 행동이 아니라 차라리 혁신적인 개혁을 지향하며 극좌와 극우의 절대주의에 굴하지 않고 항시 폭력을 부정하며 중용을 터득한 수단을 사용하는 끈질긴 저항이다. 무신론자인 그는, 신을 절대시함으로써 인간다운 자유와 희망이 절감되는 것을 싫어하지만, 마찬가지로 역사를 절대시하는 마르크스주의, 스스로를 절대시하는 사상적, 예술적 니힐리즘에도 반대한다. 혁명가는 결국 권력을 동경하여 압제자가 되지만 저항적 인간은 정의를 바라고 인간성을 존중하며 미를 사랑해야 한다는 것이 그 근본적인 사고방식이다. 즉 그에 있어서는 내일의 정의를 위하여 오늘의 부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용서될 수 없다. 여기서 그와 같은 반항적 태도는 자기기만이며 소극적인 것이라는 장송의 비난을 계기로 사르트르와의 사이에 사상적, 정치적인 논쟁이 벌어져, 그 이후 두 사람은 결별하였다. 희곡 정의의 사람들가운데의 테러리스트는 목적을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 혁명가들과는 달리 폭군을 암살하는 경우에도 죄없는 사람이 말려들 위험이 있으면 그 행동을 단념한다.카뮈는 56년에 일어난 헝가리 봉기에 있어서 격렬하게 소련을 고발하면서도 알제리아 전쟁 때는 가능한 한 정치적 발언을 삼가했다.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 (0) | 2010.09.13 |
---|---|
우리는 꿈을 통해 성장한다 (0) | 2010.09.12 |
영불리신(影不離身) (0) | 2010.09.10 |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은 (0) | 2010.07.18 |
아버지의 조건 (0) | 2010.07.09 |